숙명여대 영유아교육학과

교육의 정의를 “바람직한 행동의 변화”라고 한다면 유아교육은 유아기의 바람직한 인간의 기본적 행동형성이라고 할 것이다. 유아교육의 목적은 유아교육의 기본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과제로 유치원은 그 목적이 법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1997년 12월 13일 법률 제5437호 제35조에는 유치원의 목적이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다. “유치원은 유아를 교육하고 유아기에 알맞은 교육환경을 제공하여 심신의 조화로운 발달을 조장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노력의 내용으로써 다음과 같은 것을 규정하고 있다.

영유아 교육

⑨ ‘둥개둥개’는 어른의 손을 아기의 한쪽 겨드랑이에 끼고 다른 한 손으로 아기의 등을 받쳐 공중에서 흔드는 운동이다. 베이비뉴스는 아이 낳고 기르기 좋은 세상을 만드는 대안언론입니다. 저희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 후원하기에 동참해주세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기독교 가정과 영유아교육

2017년 12월에 발표된 그 결과에는 ‘영어교육에는 생후 11개월도 늦다’는 식의 위와 같은 상담 내용들이 담겨 있었다. DBpia와 구독 계약을 맺고 있는 학교, 공공기관, 기업 소속이시면 기관인증을 통해 논문을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인증 후 DBpia 로그인하시면 90일간 인증 상태가 유지됩니다.

생태유아교육을 하는 숲유치원과 일반 유치원 유아의 체격을 비교한 결과, 숲유치원 만 5세 유아가 일반 유치원 유아보다 체중이 적게 나가고 체지방량이 적으며, 비만도도 낮았다. 연구자들은 “숲활동 텃밭활동이 만 3세부터 크레타 클래스 2년 8개월 동안 꾸준하게 활동을 해온 만 5세 유아들에게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매년 유아교육 박람회를 직접 찾아, 그곳에서 홍보되고 있는 영유아 사교육 상품들의 동향을 조사하고 있다.

건강을 위협받고 놀 자유를 잃어버린 아이들이 점점 더 이른 나이에 교육기관에 맡겨지는 현실에서 ‘제대로 키우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자’는 움직임으로 도출됐다. 아이들을 ‘토종닭’처럼 풀어놓고 자유롭게 키워야 한다는 ‘자연산 유아교육’을 임 교수가 주도했기 때문이다. ※ 2004년 이후의 논문에 대한 총 논문 수 및 H지수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연구자 인용정보 해석 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영유아'란 6세 미만의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을 말합니다(「영유아보육법」 제2조제1호). SNS 로그인과 기관 인증을 함께 이용하고 싶으신 경우에는 기관 내부에서 이용 부탁드립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베이비뉴스는 앞으로도 기사 읽는데 불편한 광고는 싣지 않겠습니다.
  • 유아는 살아있는 생명체이고 자발적 행동으로 학습되므로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아도 처음 접하는 모든 자극이 행동발달의 시발적 역할을 한다.
  • 또한 여아들은 어머니나 할머니 등과 함께 가사에 참여하여 어릴 때부터 눈으로 익히고 귀로 들으면서 전통적 여성역할에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갔다.
  • 이상의 각 영역을 통하여 전인으로서의 유아와 조화적 발달을 조성해 주는 유아교육이어야 할 것이다.
  • ※ '영유아'란 6세 미만의 초등학교 취학 전 아동을 말합니다(「영유아보육법」 제2조제1호).

그뒤 1982년 12월 「유아교육진흥법」이 공포되어 보건사회부가 관장하고 있던 706개의 어린이집과 1981년에 내무부가 설립, 운영하여온 새마을협동유아원 263개, 1966년부터 농촌진흥청이 운영하여온 농번기유아원 382개를 모두 합병하여 새마을유아원으로 일원화하였다. 또한 여아들은 어머니나 할머니 등과 함께 가사에 참여하여 어릴 때부터 눈으로 익히고 귀로 들으면서 전통적 여성역할에 자연스럽게 접근하여 갔다. 따라서 전통시대의 유아교육은 출생에서부터 2, 3세까지는 매우 너그럽고 관용적이었다가 점차 철이 들기 시작하면서부터 엄격한 역할교육을 부과하여 일찍부터 성인의 몫을 담당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학회지안내

열흘 동안 나이 상관없이 아이들을 마루에서 놀게 하면 서로 꼬집는 빈도가 반으로 줄어드는 걸 느껴요. 임 교수는 2012년 글 ‘생태유아교육의 어제, 오늘 그리고 내일’에서 생태유아교육을 “우리 민족 고유의 생명사상과 전통 육아법은 물론 동서양의 생명사상과 생태사상에 바탕을 둔 유아교육 접근”이라고 정의했다. 아동문학가이자 놀이운동가인 편해문 작가는 책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소나무, 2012년)에서 ‘노는 아이들의 멸종’을 선언했다. 편 작가는 “놀이를 팔아 불안을 설파하고 싶지 않다”면서, “어린 아이들에게 놀이를 빼앗고 경쟁을 뚫고 마침내 승자가 되라고 닦달한다면 그것은 잔인한 짓”이라고 주장했다. 연구자 목록에서 조회가 되지 않으신다면 발행기관으로 로그인 하신 후 논문 저자를 KRI에서 검색하여 등록하시면 목록에 조회됩니다.

그러나 가정에 따라 일찍부터 독선생(獨先生)을 모셔 공부를 가르치기도 하였고, 총명한 5, 6세의 유아들이 서당에서 『천자문』 등을 배운 예도 적지 않았다. 점차 자라 6, 7세가 되어도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면 키를 씌워 이웃집에서 소금을 받아오게 하는 등 충격요법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할머니는 유아를 돌보면서 여러 가지 노래와 이야기 등을 들려주어 정서발달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여러 아들로부터 얻은 손자를 함께 돌보면서 형제간의 우애와 사회적인 행동 등을 은연중에 일깨워주었다. 2012년 방송된 EBS 다큐프라임 ‘놀이의 반란’은 놀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발달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 올바른 육아 방법을 고민하는 계기를 만든 프로그램이다.

특히 기독교 가정에서의 부모됨과 유아교육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한 실천적 방향과 실제를 구체적으로 탐색함으로써 건강한 기독교 가정과 교육문화를 형성하는 교양을 세우고자 한다. ⑭ ‘내 손이 약손이다’는 아기의 배 등이 아플 때 어머니나 할머니가 아픈 부위를 쓰다듬어 주면서 안심을 주어 아픔을 잊게 하는 심리적인 음악요법이다. ⑮ ‘까르르 까꿍’은 영아의 사회적 발달을 촉진하는 것으로, 웃음으로 자기의 행동과 외부의 자극에 대한 인과관계를 인지시키는 방법으로 사용되었다. ⑯ ‘호랑이 온다’는 아이의 울음이나 투정을 그치게 하기 위하여 호랑이가 무엇인지 알지 못하는 영아나 유아에게 전국적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④ ‘곤지곤지’는 한쪽 손바닥에 다른 손의 검지를 부딪치게 하여 손과 눈의 미세한 협응작용을 발달시킨다. ⑤ ‘도리도리 짝자꿍’은 두 가지를 합하여 연합적 운동신경을 발달시킨다. 아이가 출산되면 대문에 금줄을 치고 남아이면 고추와 숯, 여아이면 솔잎과 숯을 달아놓았다. 이는 전염병이나 세균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갓난아기가 있으니 외인의 출입을 금한다는 표지일 뿐만 아니라 숯을 달아놓음으로써 제독(除毒)의 역할을 한다고 믿었다. 당시 영아를 기르는 데 주로 참고한 서적은 『동의보감』과 『규합총서 閨閤叢書』 등이었는데 『동의보감』에 나타난 양아십요(養兒十要)를 보면 다음과 같다. ① 건강하고 안전하고 즐거운 생활을 하기에 필요한 일상의 습관을 기르고, 신체의 모든 기능의 조화적 발전을 도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