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치원 고를 때 고려해야 할 10가지 : 네이버 포스트

또 유아교육 선진국으로 평가받고 있는 다른 나라들이 어떻게 성공했는지, 왜 우리는 점점 나락으로 추락하고 있는지도 소상히 밝히고 있다. 4차 산업혁명과 미국과 중국의 갈등, 거기에 코로나까지 겹쳐서 세상이 어디까지 변할지 알 수 없다. 그것이 바로 지금 우리가 처한 현실임을 저자는 우선 일깨워준다. 이런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는 중에 저자의 눈에 들어온 것이 바로 우리 유아교육의 불행한 현실이었다.

셔틀버스를 운영하는 곳은 보조교사가 함께 탑승하는지도 확인해보도록 한다. 요즘은 미국에서 도입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며 고액의 수업료를 받고 미국의 교재를 이용하는 곳도 많다. 그러나 미국의 프로그램은 우리 나라 아이들에게 잘 맞지 않는 경우도 많다.

유아교육

발도르프 교육기관 선택을 놓고 고민했다는 경기 과천의 장동민 씨(가명ㆍ40)는 “하루 일과를 노래로 시작한다거나, 시와 율동 등으로 감성을 표현하는 방식 등이 신선했다”고 말했다. 제목 그대로 아이들은 신명나게 놀 때 아이답게 크고 자랄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나아가 "요즘 아이들에게 생기는 온갖 문제는 아이들이 동무들과 놀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진단하기도 합니다. 한국유아교육신문-대한민국 1등 유아교육정책 전문지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유치원마다 '아이를 어떻게 가르치겠다, 이렇게 키우겠다'하는 '어린이 상'이 있을 겁니다. 초등학교를 준비하기 위한 조기교육에 필요한 어린이 상인지 살펴 보아야 합니다.

유치원 고르기

물론 오롯이 저의 생각이오니 오해하시는 일 없으시길... 이는 상담 전 유치원 웹사이트를 통해서도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으니 상담 전 미리 확인하는 것을 추천한다. 저자가 유아교육계에서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지 거의 10년 정도 되었다. 온라인 매체에 〈유치원에 간 김 교수〉 5부작 시리즈를 연재했고, 교육전문 매체인 〈에듀인 뉴스〉에 ‘사립유치원 바로 알기 시리즈’도 연재했다.

유치원과 어린이집, 다른 점은?

(보통 상담할 때 그런 것들을 보여줍니다.) 활동집을 보면 기가 막힐만큼 잘한 것이 많고, 양도 많습니다. 이걸 우리 아이들이 진정 자기들 손으로 다한걸까요? 발레, 한글익히기, 수학에 구구단까지, 한자, 피아노, 미술, 골프 그 짧은 시간에 아주 많은 것을 주입시키려 합니다.

  • 유치원 이용 시간에 대해서는 '현재 이용시간이 적당하다'는 응답이 seventy seven.6%였고, 13.9%는 '지금보다 이용시간을 조금 늘리고 싶다'고 답했다.
  • 말 보다 행동으로, 삶으로 보여주는 교사여야 합니다.
  • 오히려 나중에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도 유아기에 모국어를 능숙하게 표현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줘야 한다는 뜻입니다.
  • 연구결과 자녀의 유치원을 선택할 때 학부모는 집과의 근접성을 가장 우선시하였으며, 다음으로 시설환경 측면과 교육비용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실 영어 조기교육만 문제가 되는 건 아닙니다. 유치원에서는 영어뿐만 아니라 한글 조기교육도 심각한 문제입니다. 초등학교에서 배워야 하는 한글을 유치원 과정에서 모두 익혀야 한다고 생각하는 부모와 교사들이 수두룩하기 합니다. 한편, 저자는 좋은 유치원은 결국 "아이들이 행복해하는 유치원"이라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부모 입장에서 좋은 유치원 선택이 어려운 것은 아이를 유치원에 다녀보게 하면서 고를 수 없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입니다. 어떤 분은 조기 영어교육을 잘하는 곳이 좋은 유치원이라고 생각하는 분들도 있겠지요.

도서 소득공제 안내

작년에 환경청에서 교육현장 실사 나오셨을 때 바로 새일문 유치원 7세... 버거워져서 유치원으로 보냈었습니다 좋은 유치원에 보내고 싶었어요.. '헬리콥터 부모(아이의 일거수일투족을 간섭하는 부모)가 되지 마라'와 같은 아주 현실적인 조언과 '유치원 선생님과 크레타 클래스 친하게 지내는 법' 같은 깨알 같은 노하우도 담겨 있습니다. 그리고 듣기와 말하기를 잘하려면 '직접 경험' 세계를 넓히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TV와 인터넷 같은 간접 경험을 통해서는 표현력이 풍부해지고 사고의 확장이 일어날 수 없기 때문입니다.